세종대왕과 더블어 이순신장군은 한국인이 존경하는 최고의 인물입니다.
이순신과 함께 그의 거북선을 모르는 한국인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정작 세계해전사에 빛나는 이순신 장군의 수많은 승전을 만들어 내었던 조선 최고의 전함 판옥선은 생각보다 널리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순신장군과 거북선의 그늘에 가려져 있는 판옥선.
그러나 알고보면 임진왜란의 최고의 전함은 거북선이 아니라 판옥선입니다.
그 크기와 견고함으로 인하여 적국 일본의 주력전함인 세끼부네로는 그들의 장기인 단병접전을 하기에 애를 먹었고, 탑재 되었던 수많은 함포(천지현황)를 이용한 세계최초의 함포전술은 당시 세계최강이라던 일본군을 헤어날 수 없는 패배의 수령으로 몰아넣었습니다.
하지만, 실선이 보존되어 있지 않은 한계로 인하여 정확한 복원에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어 그 안타까움이야 이루 말 할 수가 없습니다.
모형제작을 하기에 앞서 3D MAX로 먼저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작업을 위하여 두권의 3D MAX책을 대충 보고 배우면서 작업한 것이라 질감이나 조명 등 등 매우 부족한 한계가 있으나 더이상의 퀄리티를 위하여는 학원에라도 다녀야 할것 같아 이쯤에서 만족함을 알고 그만 두기로 하였습니다. ^^
참고자료
[이순신장군의 장계에 근거한 치수와 구조]
멍에 : 16개
길이 : 105자
너비 : 39자 7치
이물(선수)비우 : 15쪽 직판(세로다지)
노 : 9개
돛 : 이물돛대, 고물돛대
고물(선미)꼬리에는 널판을 깔지 않고 난간도 없음.
[각선도본]
한국의 전통배에 대한 소중한 자료이다. 판옥선과 병선, 조운선등에 대한 치수와 그림이 그려져 있다.
돛대를 뉘운 모습이 선명하게 들어나 있다.
[판옥선 고화서-수군조련도]
장대가 대체적으로 배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음이 여실히 보여지고 있고,
상선(통제사가 타는 전선)으로서의 위엄에 어울리게 장대 또한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천자일호좌선의 현판 또한 선명하다.
[한국의 배] 이원식 저.
[그외 인터넷 서핑을 통한 다양한 자료 ^^]
현존하는 많은 판옥선 모형과 복원들은 장대의 위치를 모두 두개의 돛대 가운데 두고 있는데 이러한 근거의 옛 그림들은 어디에도 있지 않습니다.
또한 돛대를 뉘울 수 있는 시스템을 어떻게 하였는지, 전선이 갯벌에 앉았을때 키는 어떻게 들어 올렸는지에 대한 복원 모습을 찾을 수가 없어 내 나름대로 복원(?)해 보았습니다.
전체적 모습은 2층과 3층을 잘 보이도록 방패판과 갑판은 최대한 설치 하지 않은 모습으로 하였습니다.
돛대를 뉘운 모습
키를 올린 모습
후면과 정면
장대와 2,3층 통로 계단
리깅은 능력의 한계로 표현하지 못하였습니다. ^^
'모형범선 제작기 > 판옥선-이순신기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판옥선 관련 자료 필요 하세요? (1) | 2012.07.08 |
---|---|
판옥선이란? (0) | 2012.01.22 |
3D 아나토미 판옥선 작업 (0) | 2010.08.09 |
판옥선-도면 수정 (0) | 2009.08.09 |
판옥선-이순신기함 도면-1 (0) | 2009.06.14 |